읽고쓰기

<적정한 삶>, 김경일

이소요씨 2024. 11. 10. 16:35
반응형

 

불안은 누구에게나, 어떤 심리학자에게나 중요한 이슈.

적절한 불안은 생활에너지를 생성하지만, 과도한 불안은 비관으로 쉽게 바뀜.

 

위험, 불안을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기질을 “속성 불안”이라고 하는데,

속성불안의 자녀가 과도하게 엄격한 부모를 만나면 비관을 초래하게 됨.

눈앞의 닥친 일을 수행하며 작은 불안을 해소하지만, 결국 끝은 좋지 않을거라 믿게됨.

(1)완벽주의자인 부모가 칭찬에 인색함

(2)속성불안의 자녀는 기대치를 충족할 수 없고, “해도 안될 거야”라고 생각하게 됨

(3)비관적인 사고

 

비관은 회사에서도 만연함. ‘어두운 천사’같은 이런 사람들은 평소에 온화한 성격을 보이더라도, 결정적인 순간에 해도 안된다는 메시지를 보내거나, 조금이라도 실패하면 그럴 줄 알았다는 패배주의를 전염시킴. 특히 권력지향의 사람들에게서 보이는 패턴.

 

권력지향 : 본질적인 일 자체보다는 주도권을 잡는 것에 관심.

성취지향 : ‘무언가를 해내는 것’ 그 자체에 대한 열망. 과정을 즐김.

성취지향형 사람들이 변화를 두려워 하지 않는 데 비해, 권력지향형은 자신의 주도권을 잃어버릴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에 변화를 주저함 + 비이성적인 낙관을 초래하기도 함.

 

감정(기쁨, 슬픔, 분노, 우울 등)이 정해진 총량이 없이 계속해서 생성되는데 비해, 의지력(인내력)은 총량이 분명히 존재함. 잠정 에너지가 소진되면 본성이 드러나게 됨. (=자아고갈 Ego Depletion). 감정 조절은 의지력의 몫이 아님!

 

불안 감도를 줄이는 방법

기록하기 : 생각의 속도를 조절, 구체적으로 기록

세분화하기 : 일을 작게 쪼개서 성취, 행복한 일들도 마찬가지

감정의 경계선 긋기 : 일은 일 / 감정은 감정 / “무슨 안좋은 일 있으세요?”

자리에서 벗어나기 : 3분의 운동, 환기 + 뇌는 심리적,육체적 고통을 구분하지 못한다

 

“남의 감탄에 목말라 하는 사회”이기 때문에, 이 감탄을 “내가 하는 감탄”으로 바꿔야함

-> 미학, 예술적 경험(체험)이 도움이 될 수 있음

 

-

인격은 성격 Big5처럼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학습하고 발전시켜나갈 수 있는 부분임.

또한 이타성은 모방기제의 원리로 타인에게 전염이 가능하다

이타성은

  • 개인과 조직의 생존에 유리하고
  • 역량을 강화하고 바른 판단과 소비를 가능하게 함

이는 불안도가 큰 현대사회에 꼭 필요한 요소임

개소리Bullshit에 누가 현혹되는가?

  • 종교, 이상향, 부적절한 신념이 강한 자
  •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저 열심히 살면 다 된다'고 믿는 자... <-이게 중요

행복의 5가지 원칙

  • Positive emotion
  • Engagement - 소속/몰입감 전부 포함
  • Relationship - 좋은 관계 구축도 좋지만 나쁜 관계 해방도 중요함
  • Meaning
  • Accomplishment - 경쟁이 아닌 목표 달성

척도의 구분이 필요

  • want : 타인의 시선 의식
  • like : 스스로의 만족

우리는 like, 스스로 어떤 것에 만족해하는지를 비대면 고독에서 이미 찾은 경험이 있음

행복하고 만족하는 삶은 낙관과 감사의 힘에서 나온다. 적정 만족을 깨닫고 유지하는게 중요.

당연하게 생각하지 않고 감사해하는 현상은 사회의 성장을 이뤄낼 것.

요약 : 우리는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시대를 몸소 겪으며 불안이라는 감정이 주는 어두운 측면과, 스스로의 만족을 발굴해내는 밝은 측면을 모두 경험했음. 앞으로의 사회는 불안 요소가 더 증폭될 전망이기 때문에 이를 감소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상황임. 이는 타인의 시선으로부터 만족을 얻는 '극대화된 삶'에서 벗어나, 스스로의 만족을 우선시 하는 '적정한 삶'을 찾음으로써 해결이 가능함. 같은 자원을 가지고 최대의 만족과 행복을 이끌어내야, 불안의 시대에 적응하고 공존할 수 있는 심리적 근육을 발달시킬 수 있음. 개인의 이같은 노력은 사회적으로 적정한 만족을 얻으며 행복을 극대화하는 사회 분위기 구축과, 이타성을 발전시켜 사회의 성장을 이뤄내는 방향으로 발전돼야 함.

반응형